안녕하세요. 오늘은 ADHD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ADHD는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der)의 약자입니다. 예전에 비해 ADHD라는 용어가 비교적 친숙하게 들립니다. 흔히들 ADHD를 산만한 아이 정도로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을 것입니다. 그래서 내 아이가 산만한 경우 혹시 ADHD는 아닐까? 생각하시는 부모님들도 많이 계실 겁니다.
오늘은 ADHD가 무엇인지 조금 더 자세하게 알아보고 ADHD의 증상은 무엇인지, 더 나아가 이런 특성을 가진 아이들은 어떻게 교육하면 좋을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ADHD란?
ADHD는 뇌와 관련된 문제를 가지고 있는 정서행동장애입니다. 우리 뇌의 전전두피질은 뇌의 다른 부분으로부터 들어오는 정보를 정리하고, 행동과 감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뇌의 명령을 내리는 집행기능을 담당하기도 합니다. ADHD는 이러한 전전두피질의 발달이 지연되며 발생합니다.
ADHD의 유형
ADHD는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뉩니다.
1. 과잉행동-충동성 ADHD
ADHD 중 가장 흔한 유형입니다. 이 유형에 해당하는 사람은 가만히 있는 것을 힘들어합니다. 움직이는 것을 좋아하고 앉아있는 것보다 서 있는 것을 좋아합니다. 말을 많이 하고 여기저기 다니는 것을 좋아합니다. 호기심이 왕성하며, 자기 자신을 조절하는 것이 어려워 무심코 비밀을 입 밖으로 내버리기도 합니다.
2. 주의력 결핍형 ADHD
이 유형은 지시를 따르거나 과제를 지속하는 것을 힘들어 합니다. 자기 생각을 정리하고 집중하는 것이 어려워 자주 실수합니다. 물건을 잃어버리는 경우도 많고 해야 할 일을 자주 잊어버립니다.
3. 혼합형 ADHD
이 유형은 과잉행동-충동성과 주의력 결핍형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습니다. 자주 잊어버리고 부산스럽습니다. 공상하는 것을 좋아하고 활동적입니다.
ADHD의 증상
✔ 많이 뛰고 움직이며 놀고 싶다.
✔ 가만히 앉아 있는 것이 힘들다.
✔ 상상력이 뛰어난 편이다.
✔ 정리하는 방법을 잘 모르겠다.
✔ 학교 숙제나 과제를 하는 데 어려움을 느낀다.
✔ 새로운 일을 시작하는 데 어려움을 느낀다.
✔ 다른 사람이 한 말을 제대로 듣지 못해 곤란한 적이 있다.
✔ 한 가지 활동에 오랫동안 집중하지 못한다.
✔ 스트레스를 자주 받는다.
✔내가 관심 있는 분야에만 오랜 시간 집중할 수 있다.
✔ 조금이라도 일이 내가 원하는 대로 풀리지 않으면 기분이 나쁘거나 짜증이 난다.
✔ 조용히 있어야 할 때도 나도 모르게 큰 소리가 나오고 만다.
출처: ADHD로 멋지게 살기, 켈리 밀러, 23p
교육 방법
그럼 ADHD를 가진 학생들에게는 어떻게 대해야 할까요? 산만한 행동과 집중하지 못하는 특성으로 인해 ADHD를 가진 아이들은 지적을 받고 혼이 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ADHD에 대해 정확하게 알지 못한다면 ADHD를 가진 아이들을 말 안 듣는 나쁜 아이라도 생각하기 쉽습니다. ADHD라는 것을 알면서도 산만하고 집중하지 못하는 아이를 보며 부모님은 이따금씩 화가 나기도 합니다. 그럼 ADHD를 가진 아이들은 어떻게 교육하면 좋을지 알아보겠습니다.
1. 짧게 설명해주세요.
ADHD를 가진 아이들은 집중력이 짧기 때문에 부모나 선생님이 길게 설명을 하면 주의가 산만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안 되는 이유를 구체적이고 단호하게, 그리고 간단하게 설명해주세요.
2. 신호를 주세요.
ADHD를 가진 아이들의 주의가 산만해졌을 때에는 간단한 신호를 주세요. 어깨를 가볍게 두드리기, 손뼉 치기 등과 같은 간단한 신호로 아이가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3. 격려해주세요.
ADHD를 가진 아이들은 자주 지적을 받고 성공경험이 적어 위축되어 있는 모습을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가 노력하는 모습을 보이거나 작은 발전을 있다면 충분히 격려해주세요.
이상으로 ADHD란 무엇인지, ADHD의 증상 및 교육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ADHD를 가진 아이들은 기억을 정리하는 법과 감정을 조절하는 능력이 다소 부족할 뿐입니다. 뇌의 발달은 늦지만, 사고가 빠르고 상상력이 풍부하여 다양한 아이디어를 쏟아내기도 합니다. 아이의 단점만을 보기보다는 장점을 찾아 집중하고 키워준다면 아이는 자신의 능력의 최대한 발휘하며 성장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상으로 글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혼인관계증명서 인터넷발급 (0) | 2023.01.02 |
---|---|
PDF 용량 줄이기┃사이트 3곳 추천 (0) | 2022.12.07 |
가족관계증명서 인터넷 발급 방법 (0) | 2022.11.29 |
우리은행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 발급 (0) | 2022.11.27 |
네이버 클라우드 업로드 및 다운로드 (0) | 2022.11.26 |